2025/04 17

[1학년] 시 수업 7: 작품 감상하기

[9국05-01] 운율, 비유, 상징의 특성과 효과에 유의하며 작품을 감상하고 창작한다. 이 성취기준을 도달하기 위해 내가 사용하고 있는 미래엔 교과서에서는 시 두 개를 제시하고 있다.지난 번에 했었던 '길'이라는 시를 통해 비유와 운율을 배우고, 이번 시간부터 할 '사랑하는 별 하나'를 통해 상징을 배우도록 구성이 되어 있다. 총 2시간을 '사랑하는 별 하나'를 학습하는데 사용하기로 계획을 했다.그 중 이번 시간은 두 번째 시간으로 작품의 내용을 감상하는 시간으로 했다. 이전 시간에 했던 시 읽는 방법도 알차게 복습하고, 작품 감상을 시켰다.시 읽는 방법을 알려줬으니 알아서 잘 적용해서 하겠지?라는 생각은 오늘도 잘못된 생각이었음을 또 배웠습니다 ㅠㅠ 시간만 낭비하는 것 같아 결국 내가 설명하면서 교..

카테고리 없음 2025.04.23

[1학년] 시 수업 6: 상징

[9국05-01] 운율, 비유, 상징의 특성과 효과에 유의하며 작품을 감상하고 창작한다. 이 성취기준을 도달하기 위해 내가 사용하고 있는 미래엔 교과서에서는 시 두 개를 제시하고 있다.지난 번에 했었던 '길'이라는 시를 통해 비유와 운율을 배우고, 이번 시간부터 할 '사랑하는 별 하나'를 통해 상징을 배우도록 구성이 되어 있다. 총 2시간을 '사랑하는 별 하나'를 학습하는데 사용하기로 계획을 했다.그 중 이번 시간은 첫 시간으로 '상징'의 개념을 학습하는 시간으로 구성해 보았다. 과제 1은 상징의 개념을 익히는 것에 중점을 두고 만들었고,과제 2는 비유와 상징을 비교하는 것으로 만들었다. 과제 1을 만들 땐 Chat GPT의 힘을 빌렸다.https://chatgpt.com/share/67db7b7c-b4..

[2학년] 수필 수업 3: 내용 정리하기

수필 수업 마지막 시간. 교과서 학습활동으로 마무리하기로 했다. 그래서 학습지 구성은 단순하게 되어있다.1) 음성상징어 활용하여 감사일기 쓰기. → 1학년 운율 수업하다 음성상징어를 잘 모르는 아이들이 있어서 2학년도 혹시 하는 마음에 넣어보았다.2) 교과서 출판사에서 만든 요점정리를 넣어두었다. 공부하는데 참고하라는 의도 + 내가 시험 문제 낼 때 방향을 잡기 위한 용도.수업 구성은1) 교과서 학습 활동 진행2) 작품 정리 읽기3) 감사일기 쓰기로 구성했다. 교과서 학습 활동은 총 두 가지였는데, 첫번째는 경험과 깨달음 중심으로 수필 내용 정리하기였다. 이건 지난 시간 학습지 내용이랑 동일한 것이어서 쉽게 할 줄 알았으나... ㅎㅎㅎㅎㅎ 그래도 할 수 있다는게 어디냐!(긍정긍정) 두번째는 작품에 쓰인..

[2학년] 수필 수업 2: 글 읽기

지난 시간에 수필의 개념과 역설의 개념을 살펴보았고, 이번 시간부터는 글을 읽고 이해하는 시간을 갖기로 했다. 수업 진행은1) 글에 나온 어려운 어휘를 미리 살펴보게 했다.2) 글을 읽고 내용을 정리하고,3) 이론으로 '설의법'을 공부하고,4) 감사일기로 생각했다. 막상 진행을 해보니...1) 어휘를 찾는 걸 어려워 하더라.2) 그림 그려서 내용을 정리하게 하면 쉬울 줄 알았는데, 의외로 잘 못했다. ^^;;;3) 설의법은 이해한 거 같기도 하고...4) 그래도 감사일기를 꾸준히 쓴게 어디냐. 건강하게 학교 오는 것만으로도 감사하게 ㅎㅎㅎ 긍정긍정

[2학년] 수필 수업 1: 수필의 개념 & 역설

내가 쓰고 있는 미래엔 교과서에서는[9국05-09] 자신의 가치 있는 경험을 개성적인 발상과 표현으로 형상화한다.이 성취기준은 학습자가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을 사렬 삶에서 가치를 발견하고 이를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작가는 작품을 통해 자신의 고유한 생각, 취향, 가치관 등을 표현한다. 다양한 문학적 표현 방법 중 운율, 반어 역설, 풍자의 원리와 그 효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개성을 살려 문학 창작 활동을 보다 풍요롭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둔다.라고 성취기준에 도달하기 위한 제재로 수필 '나의 모국어는 침묵'을 제시하고 있다. 중2 아이들이 수필도 모를 것이고, 역설도 모를 것이기 때문에 이 둘의 개념을 설명하고 수업에 들어..

[2학년] 시 수업 3: 풍자

내가 쓰고 있는 미래엔 교과서에서는[9국05-09] 자신의 가치 있는 경험을 개성적인 발상과 표현으로 형상화한다.이 성취기준은 학습자가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을 사렬 삶에서 가치를 발견하고 이를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작가는 작품을 통해 자신의 고유한 생각, 취향, 가치관 등을 표현한다. 다양한 문학적 표현 방법 중 운율, 반어 역설, 풍자의 원리와 그 효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개성을 살려 문학 창작 활동을 보다 풍요롭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둔다.라고 성취기준에 도달하기 위한 제재로 사설시조 「두꺼비 파리를 물고~」를 제시하고 있다.워낙 유명한 작품이다보니 꼭 알려주고 가야겠다는 생각은 들었지만, 이 제재가 중2 학생들에게 음..

[3학년] 고전 문학 1: 시조의 개념&훈민가

내가 쓰고있는 미래엔 교과서에서는[9국 05-05] 작품이 창작된 사회·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작품을 이해한다. 는 성취기준에 도달하기 위해 앞에서 수업한 최일남의 「노새 두 마리」를 중심 활동 소재로 제시하고 있다.그리고 난 다음 곁가지 활동으로 정철의 「훈민가」를 제시하고 있다. 추가로 제시된 내용이다보니 다루지 않아도 그만이지만 내년에 고등학교에 갔을 때 고전문학에 당황하지 말라고 수업을 진행했다.(작년에 고1 수업하면서 도대체 중학교에서 이런 것도 안 배워서 왔냐고 뭐라고 했었던 것에 대한 반성 ^^:;;) 먼저 시조의 형식부터 설명을 했다. 고등학교에 있을 때에는 말로만 설명하고 넘어갔는데, 그러면 중학생들은 이해를 못할 것을 알기에 PT를 최대한 자세하게 만드려고 노력했다. 고전 문학이..

[3학년] 소설 수업 6: 교과서 학습 활동 & 마무리

지난 시간에 최일남의 「노새 두 마리」구절 풀이 활동을 했다.마지막 시간에는 교과서 학습 활동을 함께 하고, 작품 정리를 읽으며 마무리 하기로 했다. 1. 우리가 다뤄야 하는 성취기준이[9국05-05] 작품이 창작된 사회·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작품을 이해한다.이다. 그래서 교과서 학습활동 접근 시 내용 이해 활동 이후에(언제나 그렇듯 줄거리는 좀 기억할 수 있도록 반복시켜줘야 한다) 이 부분을 강조하며 수업을 했다. 2. 학습지 내용을 보면 알 수 있듯, 문학 자습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내용이다. 내가 정리한 건 아니고 출판사에서 준 걸 그대로 활용했다. 이전에는 학생들에게 이런 걸 주는 걸 좋아하지 않았는데(구글에 검색하면 다 나오는데 그 정도는 찾아보는 수고를 해야하지 않겠냐고 했었다.), 작년..

[3학년] 소설 수업 5: 소설 분석적으로 읽기

지난 시간에 최일남의 「노새 두 마리」를 다 읽었다.바로 교과서 학습 활동으로 진행해도 되지만, 구절의 의미를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고 싶어 학습지를 만들었다. 1. 지난 기초학력 진단평가 3R's 영역 중 쓰기 영역 채점을 할 때 아이들이 관용어를 활용해 글쓰기에 약한 모습을 많이 보였었다. 그래서 작품에 나온 관용어를 한 번 집고 넘어가려고 어휘 공부를 넣었다. 2. 작품에 나온 모든 구절의 의미를 생각해볼 수는 없기에, 특정 부분의 구절에 집중하기로 했다. 선택의 기준이 필요했는데, 그 선택은 수능+전국연합 학력평가+EBS 수능 연계 교재에서 다룬 문항을 기준으로 삼기로 했다. 기출문항 추출은 EBS 인공지능 단추+를 활용하면 쉽다.https://ai-plus.ebs.co.kr/onestop/hig..

[3학년] 소설 수업 4: 소설 읽기 4

지난 시간에 이어 최일남의 「노새 두 마리」를 읽었다.먼저 결론을 말하자면 마지막으로 읽는 시간이었는데, 소설을 아이들이 4시간 동안 꾸준하게, 자신의 힘으로 읽어 낸 점이 감동적이었다. 지난 번과 달라진 점이 있다면, 이번에는 감사일기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주었다.글감을 구체적으로 주면 글의 내용이 조금 더 풍요로워지고 완성도가 높이 않을까하는 기대에서 제공한 것이었다.글감 제공은 만능 GPT 선생께서 도와주셨다.(생성형 인공지능을 사용하면서 점점 머리를 더 안 쓰는 것 같기도 하고 ^^;;) 막상 진행해 보니1) 아이들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다 읽게했다는 성취감이 나한테는 엄청나게 컸었다. 내가 읽어주지 않아도 되는구나!!!2) 아이들이 잘 이해했는지 확인하는 절차를 가지면 좋을 것 같은데,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