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 일기/중학교 3학년 국어 13

[3학년] 고전 문학 1: 시조의 개념&훈민가

내가 쓰고있는 미래엔 교과서에서는[9국 05-05] 작품이 창작된 사회·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작품을 이해한다. 는 성취기준에 도달하기 위해 앞에서 수업한 최일남의 「노새 두 마리」를 중심 활동 소재로 제시하고 있다.그리고 난 다음 곁가지 활동으로 정철의 「훈민가」를 제시하고 있다. 추가로 제시된 내용이다보니 다루지 않아도 그만이지만 내년에 고등학교에 갔을 때 고전문학에 당황하지 말라고 수업을 진행했다.(작년에 고1 수업하면서 도대체 중학교에서 이런 것도 안 배워서 왔냐고 뭐라고 했었던 것에 대한 반성 ^^:;;) 먼저 시조의 형식부터 설명을 했다. 고등학교에 있을 때에는 말로만 설명하고 넘어갔는데, 그러면 중학생들은 이해를 못할 것을 알기에 PT를 최대한 자세하게 만드려고 노력했다. 고전 문학이..

[3학년] 소설 수업 6: 교과서 학습 활동 & 마무리

지난 시간에 최일남의 「노새 두 마리」구절 풀이 활동을 했다.마지막 시간에는 교과서 학습 활동을 함께 하고, 작품 정리를 읽으며 마무리 하기로 했다. 1. 우리가 다뤄야 하는 성취기준이[9국05-05] 작품이 창작된 사회·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작품을 이해한다.이다. 그래서 교과서 학습활동 접근 시 내용 이해 활동 이후에(언제나 그렇듯 줄거리는 좀 기억할 수 있도록 반복시켜줘야 한다) 이 부분을 강조하며 수업을 했다. 2. 학습지 내용을 보면 알 수 있듯, 문학 자습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내용이다. 내가 정리한 건 아니고 출판사에서 준 걸 그대로 활용했다. 이전에는 학생들에게 이런 걸 주는 걸 좋아하지 않았는데(구글에 검색하면 다 나오는데 그 정도는 찾아보는 수고를 해야하지 않겠냐고 했었다.), 작년..

[3학년] 소설 수업 5: 소설 분석적으로 읽기

지난 시간에 최일남의 「노새 두 마리」를 다 읽었다.바로 교과서 학습 활동으로 진행해도 되지만, 구절의 의미를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고 싶어 학습지를 만들었다. 1. 지난 기초학력 진단평가 3R's 영역 중 쓰기 영역 채점을 할 때 아이들이 관용어를 활용해 글쓰기에 약한 모습을 많이 보였었다. 그래서 작품에 나온 관용어를 한 번 집고 넘어가려고 어휘 공부를 넣었다. 2. 작품에 나온 모든 구절의 의미를 생각해볼 수는 없기에, 특정 부분의 구절에 집중하기로 했다. 선택의 기준이 필요했는데, 그 선택은 수능+전국연합 학력평가+EBS 수능 연계 교재에서 다룬 문항을 기준으로 삼기로 했다. 기출문항 추출은 EBS 인공지능 단추+를 활용하면 쉽다.https://ai-plus.ebs.co.kr/onestop/hig..

[3학년] 소설 수업 4: 소설 읽기 4

지난 시간에 이어 최일남의 「노새 두 마리」를 읽었다.먼저 결론을 말하자면 마지막으로 읽는 시간이었는데, 소설을 아이들이 4시간 동안 꾸준하게, 자신의 힘으로 읽어 낸 점이 감동적이었다. 지난 번과 달라진 점이 있다면, 이번에는 감사일기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주었다.글감을 구체적으로 주면 글의 내용이 조금 더 풍요로워지고 완성도가 높이 않을까하는 기대에서 제공한 것이었다.글감 제공은 만능 GPT 선생께서 도와주셨다.(생성형 인공지능을 사용하면서 점점 머리를 더 안 쓰는 것 같기도 하고 ^^;;) 막상 진행해 보니1) 아이들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다 읽게했다는 성취감이 나한테는 엄청나게 컸었다. 내가 읽어주지 않아도 되는구나!!!2) 아이들이 잘 이해했는지 확인하는 절차를 가지면 좋을 것 같은데, 그..

[3학년] 소설 수업 3: 소설 읽기 3

지난 시간에 이어 최일남의 「노새 두 마리」를 읽었다.지난 시간보다 읽어야 할 분량이 늘었는데, 중요하게 이어지는 내용이다보니 중간에 끊기 애매해서 쭉 제시했다. 이번 감사일기에는 음성상징어를 활용하라고 시켰는데, 1, 2학년 수업에서 아이들이 음성상징어가 무엇인지 몰랐던 것에 충격을 받고 3학년은 어떤지 확인 차 넣어보았다.막상 진행해 보니1) 분량이 늘어서 읽기 힘들어 하지 않을까 걱정했는데, 얼추 다 읽고 내용 정리까지 마무리 했었다. 내가 해주지 않을 거라는 걸 아이들이 알고 스스로 하기 시작한 걸까? 아니면 하다보니 속도가 빨라진 걸까?2) 3시간 째 읽고 있는데, 2~3명 정도 아이들이 내용 정리를 못하는 게 보였다. 문제는 이 아이들이 기초학력 검사에서도 미달로 나온 아이들이라는 건데.....

[3학년] 소설 수업 2: 소설 읽기 2

지난 시간에 이어 최일남의 「노새 두 마리」를 읽었다.지난 시간에 단어 공부와 읽을 분량이 많았었다는 문제점을 반영하여 이번 시간에는 단어의 양과 읽어야 할 분량을 줄였다. 더불어 달라진 점이 있다면, 감사 일기와 소설 학습을 연결시켜보고자 어휘 학습으로 배운 어휘를 사용해 감사일기를 쓰게 시킨 점이다.막상 진행해 보니1) 어휘 분량이 줄어들고, 지난 시간에 해 봐서 그런지 제법 훑어읽기 느낌으로 단어를 스캔하는 아이들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교과서 각주로 어휘 설명을 해준다는 것을 아이들이 눈치채기 시작했다.2) 장면을 줄여주니 주어진 시간 안에 활동을 마무리할 수 있었다. 해당 부분 내용이 정리하기 쉬웠던 걸까? 그렇지만 여전히 핵심 내용 정리를 못하는 아이들이 있었다.3) 지난 시간과 이번 시간에 ..

[3학년] 소설 수업 1: 소설 읽기 1

앞서 두 시간 소설을 읽기에 필요한 준비 과정을 끝내고 이제 본격적으로 소설을 읽기로 했다.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소설은 최일남의 「노새 두 마리」인데, 1970년대가 배경이다보니 아이들이 읽기 어려워하지는 않을까, 단어가 까다로워 힘들어하지는 않을까, 내용이 유쾌한 편이 아니라 싫어하지는 않을까 걱정이었다.(일단 교과서 소설은 왜 다 이렇게 오래된 거만 있는 거냐 투덜거리는 거부터 걱정 ^^:;;)소설 수업 전체 구상은 아래와 같이 했었다.1) 1~2차시: 1~2학년 때 배운 소설 관련 이론 복습 2) 3차시~5차시: 교과서 작품 읽기3) 6차시: 중요 구절 의미 생각하기4) 7차시: 작품 핵심 정리하기 학습지 내용은 작년 8월 말, 포천교육지원청에서 진행한 국어 수업 연수 강사이신 대평고 김영희 선생..

[3학년] 소설 수업 준비 2: 1~2학년 때 배운 소설 이론 복습하기 2

4차시에 걸친 시 수업을 마치고(지금 돌이켜 생각해보니 너무 짧았던 거 같기도 하고?) 소설 수업에 들어가기로 했다.시 수업을 서둘러 끝낸 이유는 수업이 늘어지면 아이들이 힘들어 하는 걸 고려한 점도 있었지만, 내가 소설 수업을 진행하며 얼마나 늘어질지 예상을 못했기 때문에 시간을 많이 확보하고 싶었던 마음도 있었기 때문이다.8년째 하고 있지만, 소설 수업은 늘 어렵고 자신이 없다. 작년부터 소설 수업을 어떻게 진행해야 할지 조금은 알 것 같은 마음이 든다. 작년에 소설 수업을 하고 이런 생각을 하게 된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었지만, 그 중 하나는 시간에 쫓기지 않도록 시수 확보를 한 게 중요했었다. 그래서 올해도 여유롭게 시간을 확보하려고 했었다.소설 수업 전체 구상은 아래와 같이 했었다.1) 1~..

[3학년] 소설 수업 준비 1: 1~2학년 때 배운 소설 이론 복습하기 1

4차시에 걸친 시 수업을 마치고(지금 돌이켜 생각해보니 너무 짧았던 거 같기도 하고?) 소설 수업에 들어가기로 했다.시 수업을 서둘러 끝낸 이유는 수업이 늘어지면 아이들이 힘들어 하는 걸 고려한 점도 있었지만, 내가 소설 수업을 진행하며 얼마나 늘어질지 예상을 못했기 때문에 시간을 많이 확보하고 싶었던 마음도 있었기 때문이다.8년째 하고 있지만, 소설 수업은 늘 어렵고 자신이 없다. 작년부터 소설 수업을 어떻게 진행해야 할지 조금은 알 것 같은 마음이 든다. 작년에 소설 수업을 하고 이런 생각을 하게 된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었지만, 그 중 하나는 시간에 쫓기지 않도록 시수 확보를 한 게 중요했었다. 그래서 올해도 여유롭게 시간을 확보하려고 했었다.소설 수업 전체 구상은 아래와 같이 했었다.1) 1~..

[3학년] 시 수업2: 교과서 작품에 쓰인 기법의 효과 생각하기

3학년 시 수업의 마지막 차시로 계획한 시간이다.전 차시를 통해 1~2학년에 배운 시론을 이해하고 있고, 작품 내용을 이해하고 있다는 전제하에 수업을 계획했다.(하지만 늘  그렇듯 전제에 오류가 있을 것임을 나는 알고 있다.)해당 수업의 세부 구성은 아래와 같다.  1) 기법의 효과를 분석하기 전 시 내용 복습하기. [5분]2) 작품에 쓰인 심상, 도치, 대조, 역설의 효과 분석하기. [30분]3) 감사일기 쓰고 마무리 [대략 5분 설정] 진행을 해보니1) 생각보다 시론을 많이 알고 있었다.(진짜 기대 이외로)2) 근데 진짜 제대로 알고 있는 건지 의심이 되기 시작했다.3) 감사일기에 심상을 활용해서 쓰라고 했더니 잘 쓰더라. 정말 기대 이외로.4) '문학 활동이 우리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를 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