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7

[3학년] 시 수업2: 교과서 작품에 쓰인 기법의 효과 생각하기

3학년 시 수업의 마지막 차시로 계획한 시간이다.전 차시를 통해 1~2학년에 배운 시론을 이해하고 있고, 작품 내용을 이해하고 있다는 전제하에 수업을 계획했다.(하지만 늘  그렇듯 전제에 오류가 있을 것임을 나는 알고 있다.)해당 수업의 세부 구성은 아래와 같다.  1) 기법의 효과를 분석하기 전 시 내용 복습하기. [5분]2) 작품에 쓰인 심상, 도치, 대조, 역설의 효과 분석하기. [30분]3) 감사일기 쓰고 마무리 [대략 5분 설정] 진행을 해보니1) 생각보다 시론을 많이 알고 있었다.(진짜 기대 이외로)2) 근데 진짜 제대로 알고 있는 건지 의심이 되기 시작했다.3) 감사일기에 심상을 활용해서 쓰라고 했더니 잘 쓰더라. 정말 기대 이외로.4) '문학 활동이 우리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를 아이..

[2022 개정 교육과정] 내 마음대로 정리해보는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3

5년 만에 학교를 옮긴다. 그것도 고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이동한다. 때마침 교육과정도 바뀐다.학교 급도 바뀌고 교육과정도 바뀌는 시기에 맞춰서 교육과정을 공부해 보려고 한다.원래는 방학 때 이 시리즈를 끝내는 게 목표였으나, 늘 그렇듯 계획은 원대하고 실행을 못 해서 개학을 넘기고 말았다. 개인적으로는 교육과정 총론을 개학 전에 한 번 읽고는 들어갔으니 성공이라고 본다.+ 블로그 유입 통계에 2022 개정 교육과정이 검색어로 가장 많았었는데, 이럴 줄 알았으면 미리 좀 해 둘걸 그랬다. (아무도 안 보길 바라는데 왜 조회수에 연연하는지 모를 내 마음 ^^;;)+ 학기 시작하니 꾸준히하기가 어려운데 어쨌든 쓰고 있으니 잘 하는 거라고 본다. ㅎㅎ공부할 때 본 자료1. 교육부(2022),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

[3학년] 시 수업1: 교과서 작품 감상하기

3월 시 수업에서 다루는 교육과정 성취기준은[9국05-01] 문학은 심미적 체험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소통 활동임을 알고 문학 활동을 한다.이 성취기준은 문학 활동이 작가와 독자, 독자와 독자가 인간의 삶에 대한 심미적 인식을 공유함으로써 세계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삶의 의미를 성찰하는 언어 활동임을 이해하고 수용·창작 활동을 하도록 하기 위해 설정하였다. 문학은 인간과 세계의 진실에 대한 심미적 인식이 형상화된 언어 예술이다. 작품에 담긴 심미적 인식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데에서 나아가 자신의 삶 속에서 정서적·심미적 경험을 확충하고 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이다. 내가 보고 있는 교과서에서는 이 성취기준을 한 가지 작품으로 지도하도록 구성되어있다. 나는 이걸 1) 1~2학년에..

[2학년] 시 수업 1: 교과서 작품 감상하기, 반어

3월 시 수업에서 다루는 교육과정 성취기준은[9국05-09] 자신의 가치 있는 경험을 개성적인 발상과 표현으로 형상화한다.이 성취기준은 학습자가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을 사렬 삶에서 가치를 발견하고 이를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작가는 작품을 통해 자신의 고유한 생각, 취향, 가치관 등을 표현한다. 다양한 문학적 표현 방법 중 운율, 반어 역설, 풍자의 원리와 그 효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개성을 살려 문학 창작 활동을 보다 풍요롭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둔다.이다. 내가 보고 있는 교과서에서는 이 성취기준을 세 가지 작품으로 지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나는 이걸 1) 교과서 시를 감상하면서 반어 설명2) 교과서 작품 토대로 운율 ..

[2학년] 시 수업 준비 2: 시를 읽는 방법

수업 내용은 3학년과 동일하게 진행했다.https://teachinglog.tistory.com/5 [3학년] 시 수업 준비 2: 시를 읽는 방법문학 수업을 하다보면 내 삶과 학교 상황에서 예시를 가져와 설명하는 경우가 많아 아이들과 친해지기 이전에 문학 수업을 하는 것을 선호하지 않는데, 올해는 교과서 순서대로 나가보자는 마teachinglog.tistory.com궁금하신 분은 이 링크를 들어가 보시면 되겠다. 시 읽기 방법이라는 내용을 1, 2, 3학년 모두 지도하기 때문에 학습지와 활동을 모두 동일하게 구성했다.3학년은 잘 받아들이는 반면 1학년은 학습지 빈칸이 많았었다. 2학년은 조금 어색해하는 것 같았지만 금방 적응하고 받아들인 것 같았다.새삼스럽게 중학교에선 1년 차이가 꽤 크다는 걸 또 느낀..

[1학년] 시 수업 5: 운율

시 수업 중 운율 부분이 2015 개정 교육과정과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차이가 있는 부분이다.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9국05-09] 자신의 가치 있는 경험을 개성적인 발상과 표현으로 형상화한다.이 성취기준은 학습자가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을 사렬 삶에서 가치를 발견하고 이를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작가는 작품을 통해 자신의 고유한 생각, 취향, 가치관 등을 표현한다. 다양한 문학적 표현 방법 중 운율, 반어 역설, 풍자의 원리와 그 효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개성을 살려 문학 창작 활동을 보다 풍요롭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둔다.라고 성취기준과 해설을 제시하고 있다.이에 따라 교과서는 2학년 1학기에 이 내용을 제시하고 ..

[1학년] 시 수업 4: 교과서 작품 감상하기

3월 시 수업에서 다루는 교육과정 성취기준은[9국05-01] 운율, 비유, 상징의 특성과 효과에 유의하며 작품을 감상하고 창작한다.이다. 내가 보고 있는 교과서에서는 이 성취기준을 두 가지 작품으로 지도하도록 구성되어있다. 나는 이걸 1) 비유 설명(1시간 계획했으나 하다보니 2시간 됨)2) 시를 읽는 방법 설명3) 교과서 작품1 읽으면서 a. 내용 파악하기, b. 작품에 사용된 비유 파악하기4) 운율 설명5) 교과서 작품1 다시 읽으면서 운율 형성 방법과 효과 파악하기6) 상징 설명7) 교과서 작품 2 읽으면서 a. 내용 파악하기,  b. 작품에 사용된 상징 파악하기8) 사진시 쓰기 수행평가(3차시)로 생각하고 수업을 구성했다. 총 10차시를 활용하려고 생각했다.그런데 비유 설명부터 시간이 모자르기 시..

[1학년] 시 수업 3: 시를 읽는 방법

수업 내용은 3학년과 동일하게 진행했다.https://teachinglog.tistory.com/5 [3학년] 시 수업 준비 2: 시를 읽는 방법문학 수업을 하다보면 내 삶과 학교 상황에서 예시를 가져와 설명하는 경우가 많아 아이들과 친해지기 이전에 문학 수업을 하는 것을 선호하지 않는데, 올해는 교과서 순서대로 나가보자는 마teachinglog.tistory.com궁금하신 분은 이 링크를 들어가 보시면 되겠다. 시 읽기 방법이라는 내용을 1, 2, 3학년 모두 지도하기 때문에 학습지와 활동을 모두 동일하게 구성했다.3학년은 잘 받아들이는 반면 1학년은 어려웠는지 학습지 빈칸이 많았었다.(2학년은 그 중간 정도였고)특히 남학생들이 수업을 많이 따라오지 못했다. 여학생에게 유리한 수업을 하고 있는 건가 ^..

[1학년] 시 수업 2: 비유 두 번째 시간

문학 수업을 하다보면 내 삶과 학교 상황에서 예시를 가져와 설명하는 경우가 많아 아이들과 친해지기 이전에 문학 수업을 하는 것을 선호하지 않는데, 올해는 교과서 순서대로 나가보자는 마음을 먹어 교과서 순서대로 문학부터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를 또 쓰고 있다. 수업 자료 복붙처럼 블로그도 복붙. 생기부만 복붙 안 하면 되지 뭐 ㅎㅎ) 대다수의 교과서가 그렇듯, 첫 번째 소단원은 시를 다루고 있다.1학년도 다른 학년처럼 이전 학습 내용 복습을 하고 시작해야 하지만, 초등학교에서 뭘 배우는지 교과서만 봐서는 잘 모르겠어서 그냥 일단 진행하기로 했다. 예상했던 수업 차시 계획은 비유를 한 시간만에 설명을 끝내는 것이었는데, 수업이 늘어져 이론 설명을 두 시간이나 하게 되었다.(아이들이 들으면서 받아 적기가 안..

[2022 개정 교육과정] 내 마음대로 정리해보는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2

5년 만에 학교를 옮긴다. 그것도 고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이동한다. 때마침 교육과정도 바뀐다.학교 급도 바뀌고 교육과정도 바뀌는 시기에 맞춰서 교육과정을 공부해 보려고 한다.원래는 방학 때 이 시리즈를 끝내는 게 목표였으나, 늘 그렇듯 계획은 원대하고 실행을 못 해서 개학을 넘기고 말았다. 개인적으로는 교육과정 총론을 개학 전에 한 번 읽고는 들어갔으니 성공이라고 본다.+ 블로그 유입 통계에 2022 개정 교육과정이 검색어로 가장 많았었는데, 이럴 줄 알았으면 미리 좀 해 둘걸 그랬다. (아무도 안 보길 바라는데 왜 조회수에 연연하는지 모를 내 마음 ^^;;)공부할 때 본 자료1. 교육부(2022),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시 제2022-33호)2. 교육부(2024), 2022 개정 교육과정 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