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0

[1학년] 시 수업 10: 사진 시 쓰기 3

계획으론 10차시였지만, 막상 진행하게 된 건 시 수업 11차시인 사진 시 쓰기 3번째 내용.이렇게 2025년 1학기 1학년 시 수업은 끝이 난다. 마지막 활동지는 아래와 같다.마지막 차시는1. 고쳐쓰기까지 마무리한 시를 적고2. 작품 설명서를 쓰고3. 활동 소감문을 적으며 마무리하는 구성이다.활동을 구상하는 단계에서는 이 차시 활동을 몹시 쉽게 할 것이라(이미 했던 걸 마무리하는 활동이니 당연히...) 생각했지만...막상 해보니 1. 고쳐쓰기 한 시를 다시 완성본에 맞게 정갈하게 적어야 한다는 개념이 없었다.→ 중1인데 한글을 예쁘게 못 쓰는 아이들.... 나도 글씨 정말 못 쓰지만 이건 좀... 내가 중1을 가르치는 건지 초1을 가르치는 건지 모를 정도였다... 2. 작품 설명 쓰기는 몹시 친절한 ..

[1학년] 시 수업 9: 사진 시 쓰기 2

계획으론 9차시였지만, 막상 진행하게 된 건 시 수업 10차시인 사진 시 쓰기 2번째 내용.활동지는 아래와 같다. 이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초고가 준비가 되어 있었어야 했다.하지만... 역시나 초고가 준비되지 않은 학생들이 있어서 수업 진행이 매끄럽지 않았다.(ㅠㅠ 도대체 왜... 중1은 이러는 거냐...) 또다른 문제라고 한다면 합평의 과정에 있어서1. 진지하게 참여하지 않는 (남)학생 무리들과... 2. 한국어가 서툰 다문화 학생들이 있어...합평의 진행이 매끄럽지 않았다. 남학생들이야 어르고 달래고 협박하면서 시킬 수라도 있었지만, 한국어가 서툰 다문화 학생은.... 아 제발 위탁을 갔으면 ㅠㅠㅠㅠ 어찌 저찌 합평의 시간을 보내고, 토의 내용을 정리한 후 고쳐쓰기 시간을 가져보라고 주었다...

[1학년] 시 수업 8: 사진 시 쓰기 1

지금까지 배운 시 이론을 바탕으로 창작하는 활동을 구성했다.해당 활동은 수행평가와 연계하여 구성하였다. 총 3차시를 생각했으나, 막상 진행해보니 4시간이 걸렸다.(도대체 중1은 왜 계획대로 진행되는 게 없는 걸까...) 해당 수업은 지난 8월 포천 교육지원청 연수에서 배웠던 내용을 그대로 따라했다.(일전에 내가 진행했었던 시 창작 수업보다 진일보한 수업이라 생각하여...)원 저작자이신 대평고 김영희 선생님의 블로그를 링크해둔다.http://blog.naver.com/hehe26 가늘고 길게 가는 블로그. : 네이버 블로그본체와 부캐 사이의 괴리가 큽니다.blog.naver.com 활동지는 아래와 같다. 우선 학생들은 이 수업에 참여하기 위해 자신이 촬영한 '문학적인 순간'을 나타내는 사진을 준비해야 했..

[2학년] 듣기-말하기: 발표 수업 그런데 Chat GPT를 곁들인... 3

중학교 수업을 할 때, 꼭 수행평가로 하려고 하는 것이 발표 수행평가다. 그래서 이번에도 수행평가로 진행했다.우선 2015 교육과정에서 해당 성취기준부터 보도록 하자. [9국01-08] 핵심 정보가 잘 드러나도록 내용을 구성하여 발표한다. 2018년, 2019년에 중학교 2학년 수업을 할 때는 다양한 매체(책, 인터넷 등)을 활용해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정리해서 정보를 전달하는 발표를 하도록 수업을 진행했었다.(다양한 매체에서 찾기를 원했지만, 아이들은 유튜브에서 정보 검색을 한다는 사실을 알고 적잖이 놀랐었던 기억이 ㅋㅋㅋ) 하지만 세상이 변해서 Chat GPT를 비롯한 다양한 생성형 AI가 등장한 사회가 되었다.그래서 이번 발표수업에는 Chat GPT와 감마를 전면적으로 사용하도록 수업을 구성했다..

[2학년] 듣기-말하기: 발표 수업 그런데 Chat GPT를 곁들인... 2

중학교 수업을 할 때, 꼭 수행평가로 하려고 하는 것이 발표 수행평가다. 그래서 이번에도 수행평가로 진행했다.우선 2015 교육과정에서 해당 성취기준부터 보도록 하자. [9국01-08] 핵심 정보가 잘 드러나도록 내용을 구성하여 발표한다. 2018년, 2019년에 중학교 2학년 수업을 할 때는 다양한 매체(책, 인터넷 등)을 활용해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정리해서 정보를 전달하는 발표를 하도록 수업을 진행했었다.(다양한 매체에서 찾기를 원했지만, 아이들은 유튜브에서 정보 검색을 한다는 사실을 알고 적잖이 놀랐었던 기억이 ㅋㅋㅋ) 하지만 세상이 변해서 Chat GPT를 비롯한 다양한 생성형 AI가 등장한 사회가 되었다.그래서 이번 발표수업에는 Chat GPT와 감마를 전면적으로 사용하도록 수업을 구성했다..

[2학년] 듣기-말하기: 발표 수업 그런데 Chat GPT를 곁들인... 1

중학교 수업을 할 때, 꼭 수행평가로 하려고 하는 것이 발표 수행평가다. 그래서 이번에도 수행평가로 진행했다.우선 2015 교육과정에서 해당 성취기준부터 보도록 하자. [9국01-08] 핵심 정보가 잘 드러나도록 내용을 구성하여 발표한다. 2018년, 2019년에 중학교 2학년 수업을 할 때는 다양한 매체(책, 인터넷 등)을 활용해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정리해서 정보를 전달하는 발표를 하도록 수업을 진행했었다.(다양한 매체에서 찾기를 원했지만, 아이들은 유튜브에서 정보 검색을 한다는 사실을 알고 적잖이 놀랐었던 기억이 ㅋㅋㅋ) 하지만 세상이 변해서 Chat GPT를 비롯한 다양한 생성형 AI가 등장한 사회가 되었다.그래서 이번 발표수업에는 Chat GPT와 감마를 전면적으로 사용하도록 수업을 구성했다..

[3학년] 읽기 수업 1: 논증 방법 파악하며 읽기 1

2011개정 교육과정 시기에는 중학교 2학년에 있었던 논증 방법 파악하기가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중학교 3학년으로 변경되었다. 2011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1~3학년군 읽기(5) 논증 방식을 파악하며 주장하는 글을 읽는다.사회에는 여러 가지 갈등이 존재하며, 이러한 갈등은 흔히 주장하는 글로 표현된다. 그러므로 주장하는 글의 구조와 주장에 대한 판단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주장 하는 글에는 문제에 대한 필자의 주장과 그것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나타난다. 이 둘은 논증의 관계를 이루는데, 귀납, 연역, 유추, 문제해결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논증방식을 파악한 후, 합리성과 실현가능성 등의 기준으로 필자 주장의 타당성을 판단하도록 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1~3학년군 읽기[9국02-05] ..

[1학년] 시 수업 7: 작품 감상하기

[9국05-01] 운율, 비유, 상징의 특성과 효과에 유의하며 작품을 감상하고 창작한다. 이 성취기준을 도달하기 위해 내가 사용하고 있는 미래엔 교과서에서는 시 두 개를 제시하고 있다.지난 번에 했었던 '길'이라는 시를 통해 비유와 운율을 배우고, 이번 시간부터 할 '사랑하는 별 하나'를 통해 상징을 배우도록 구성이 되어 있다. 총 2시간을 '사랑하는 별 하나'를 학습하는데 사용하기로 계획을 했다.그 중 이번 시간은 두 번째 시간으로 작품의 내용을 감상하는 시간으로 했다. 이전 시간에 했던 시 읽는 방법도 알차게 복습하고, 작품 감상을 시켰다.시 읽는 방법을 알려줬으니 알아서 잘 적용해서 하겠지?라는 생각은 오늘도 잘못된 생각이었음을 또 배웠습니다 ㅠㅠ 시간만 낭비하는 것 같아 결국 내가 설명하면서 교..

[1학년] 시 수업 6: 상징

[9국05-01] 운율, 비유, 상징의 특성과 효과에 유의하며 작품을 감상하고 창작한다. 이 성취기준을 도달하기 위해 내가 사용하고 있는 미래엔 교과서에서는 시 두 개를 제시하고 있다.지난 번에 했었던 '길'이라는 시를 통해 비유와 운율을 배우고, 이번 시간부터 할 '사랑하는 별 하나'를 통해 상징을 배우도록 구성이 되어 있다. 총 2시간을 '사랑하는 별 하나'를 학습하는데 사용하기로 계획을 했다.그 중 이번 시간은 첫 시간으로 '상징'의 개념을 학습하는 시간으로 구성해 보았다. 과제 1은 상징의 개념을 익히는 것에 중점을 두고 만들었고,과제 2는 비유와 상징을 비교하는 것으로 만들었다. 과제 1을 만들 땐 Chat GPT의 힘을 빌렸다.https://chatgpt.com/share/67db7b7c-b4..

[2학년] 수필 수업 3: 내용 정리하기

수필 수업 마지막 시간. 교과서 학습활동으로 마무리하기로 했다. 그래서 학습지 구성은 단순하게 되어있다.1) 음성상징어 활용하여 감사일기 쓰기. → 1학년 운율 수업하다 음성상징어를 잘 모르는 아이들이 있어서 2학년도 혹시 하는 마음에 넣어보았다.2) 교과서 출판사에서 만든 요점정리를 넣어두었다. 공부하는데 참고하라는 의도 + 내가 시험 문제 낼 때 방향을 잡기 위한 용도.수업 구성은1) 교과서 학습 활동 진행2) 작품 정리 읽기3) 감사일기 쓰기로 구성했다. 교과서 학습 활동은 총 두 가지였는데, 첫번째는 경험과 깨달음 중심으로 수필 내용 정리하기였다. 이건 지난 시간 학습지 내용이랑 동일한 것이어서 쉽게 할 줄 알았으나... ㅎㅎㅎㅎㅎ 그래도 할 수 있다는게 어디냐!(긍정긍정) 두번째는 작품에 쓰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