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수업을 할 때, 꼭 수행평가로 하려고 하는 것이 발표 수행평가다. 그래서 이번에도 수행평가로 진행했다.
우선 2015 교육과정에서 해당 성취기준부터 보도록 하자.
[9국01-08] 핵심 정보가 잘 드러나도록 내용을 구성하여 발표한다.
2018년, 2019년에 중학교 2학년 수업을 할 때는 다양한 매체(책, 인터넷 등)을 활용해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정리해서 정보를 전달하는 발표를 하도록 수업을 진행했었다.(다양한 매체에서 찾기를 원했지만, 아이들은 유튜브에서 정보 검색을 한다는 사실을 알고 적잖이 놀랐었던 기억이 ㅋㅋㅋ)
하지만 세상이 변해서 Chat GPT를 비롯한 다양한 생성형 AI가 등장한 사회가 되었다.
그래서 이번 발표수업에는 Chat GPT와 감마를 전면적으로 사용하도록 수업을 구성했다.
차시 운영 계획은 다음과 같았다.(총 13차시로 운영)
1차시: 발표 전반에 대한 이론 설명
2차시~3차시: 교과서에 나온 발표문을 보며 발표 익히기
4차시~10차시: 발표 준비하기
11차시~12차시: 발표하기
13차시: 발표 소감문 작성하기
이번 글에서는 7~8차시 본격적으로 수행평가 활동지에 발표를 준비한 내용을 정리해보려 한다.
7~8차시
원래는 두 차시가 아닌 한 차시로 운영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두 차시로 늘어나게 된 데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었다.
1. 앞 6차시에서 아이들이 충분한 자료 수집을 하지 못했고,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내용을 이해하기보다는 생성형 인공지능이 알려준 내용을 그대로 배껴쓰기에 바빴다.
2. 아이들이 자료 수집을 할 때 로그인이 되었다면 기록이 남아있었겠지만, 로그인이 되지 않아 모든 기록이 날라가 처음부터 다시 입력을 해야 했었다.
수업을 구상할 때는 생각지 못한 문제점으로 인해 수업이 늘어지게 된 것이다.
내년도에 발표 수업을 이 방식으로 진행하게 된다면, 생성형 인공지능이 알려준 내용을 이해하고 있는지를 어떻게 확인해야 할지를 고민해보고, 구글 로그인은 학년 초에 시키고 비밀번호까지 내가 확보를 해 두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이와 더불어 진행을 해 보았을 때 문제점이 몇 개 더 있었다.
1. GPT가 내용 조직하기 단계에서 이미 발표문을 작성해 주었기 때문에, 내용 조직하기-초고쓰기를 별도의 단계로 나눌 이유가 없는 것처럼 느껴졌다.
2. 700~800자 분량으로 발표문을 작성하라고 했는데, 발표 시간인 3분에 비해 턱없이 모자라는 발표문 분량이었다.
아무튼 그래서 지난 6차시에 보여준 문제점에 이번 7~8차시의 문제점이 더해저 발표문 준비에만 예상과 달리 3시간이나 사용하게 되었다.
어떻게 하면 생성형 인공지능을 수업 장면에서 지혜롭게 사용할 수 있을지 과제를 준 수업이었다.(라고 쓰면 좀 덜 망한 것처럼 보이겠지?)
'수업 일기 > 중학교 2학년 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학년] 듣기-말하기: 발표 수업 그런데 Chat GPT를 곁들인... 8 (0) | 2025.09.19 |
---|---|
[2학년] 듣기-말하기: 발표 수업 그런데 Chat GPT를 곁들인... 7 (0) | 2025.09.19 |
[2학년] 듣기-말하기: 발표 수업 그런데 Chat GPT를 곁들인... 5 (0) | 2025.09.12 |
[2학년] 듣기-말하기: 발표 수업 그런데 Chat GPT를 곁들인... 4 (0) | 2025.09.12 |
[2학년] 듣기-말하기: 발표 수업 그런데 Chat GPT를 곁들인... 3 (1) | 2025.05.20 |